SHAKE (SMAP의 노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HAKE는 SMAP이 1996년에 발매한 노래이다. 이 곡은 SMAP×SMAP의 테마곡으로 사용되었으며, NTT 동일본 CM송으로도 사용되었다. 오리콘 싱글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고, SMAP의 싱글 중 누적 출하량 4위를 기록했다. SMAP은 이 곡으로 여러 음악 방송에 출연했으며, 다양한 아티스트들과 컬래버레이션 무대를 선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MAP의 노래 - Can't Stop!! -LOVING-
Can't Stop!! -LOVING-은 SMAP의 데뷔 싱글로, 모리 히로미 작사, 지미 존슨 작곡, 후나야마 모토키 편곡으로 TV 아사히 '비트 타케시의 TV 태클' 엔딩 테마곡으로 사용되었으며, SMAP 메들리가 커플링 곡으로 수록되어 오리콘 주간 싱글 랭킹 2위를 기록하고 대표곡 중 하나가 되었다. - SMAP의 노래 - Triangle (SMAP의 노래)
Triangle은 SMAP의 노래로, 이치카와 요시야스가 작사·작곡하고 코니시 타카오가 편곡했으며, 2001년 9.11 테러 이후 아프가니스탄 대테러 전쟁을 보고 제작되어 삼각 관계를 의미하며, 오리콘 주간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했다. - 1996년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작품 - PRIDE (이마이 미키의 노래)
PRIDE는 이마이 미키의 대표곡으로, 1996년에 발매되어 드라마 주제가로 사용되었고, 호테이 토모야스가 작사, 작곡, 편곡, 기타를 담당하여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하며 밀리언 셀러를 달성했다. - 1996년 오리콘 싱글 차트 1위 작품 - BEAT YOUR HEART
BEAT YOUR HEART는 V6가 1996년에 발매한 싱글로, 오리콘 차트 1위를 기록하고 멤버 전원에게 솔로 파트가 주어진 첫 싱글이며, 타이틀곡은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여자 배구 최종 예선 이미지송으로 사용되었다. - 1996년 노래 - PRIDE (이마이 미키의 노래)
PRIDE는 이마이 미키의 대표곡으로, 1996년에 발매되어 드라마 주제가로 사용되었고, 호테이 토모야스가 작사, 작곡, 편곡, 기타를 담당하여 오리콘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하며 밀리언 셀러를 달성했다. - 1996년 노래 - Change the World
Change the World는 에릭 클랩튼이 1996년에 발표하여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곡으로, 영화 《페노미넌》 사운드트랙에 수록되어 인기를 얻었으며, 빌보드 차트 상위권에 오르고 그래미 어워드를 수상하는 등 평론가와 대중에게 인정받았다.
SHAKE (SMAP의 노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곡 정보 | |
곡명 | SHAKE |
가수 | SMAP |
음반 | Wool |
B-사이드 | 묵묵히 나를 따라와 |
발매일 | 1996년 11월 18일 |
형식 | 8cm 싱글 |
장르 | J-POP |
길이 | 17분 34초 |
레이블 | 빅터 엔터테인먼트 |
작사가 | 모리 히로미 |
작곡가 | 고모리타 미노루 |
인증 | 트리플 플래티넘 (일본 레코드 협회) |
차트 순위 | 주간 1위 (오리콘) 1997년 연간 19위 (오리콘) |
이전 싱글 | 파란 번개 (1996년) |
다음 싱글 | 다이너마이트 (1997년) |
2. 발매 배경 및 제작 과정
SMAP의 5인 체제 이후 첫 오리지널 싱글이다. 작사가 모리 히로미는 30분 만에 가사를 완성했으며, 이 곡은 그의 최대 히트곡이 되었다. 원래 가사 일부는 영어였으나, 코모리타 미노루가 영어 가사에 맞춰 곡을 만들고 데모로 노래한 후 일본어 가사로 변경되었다.[3][4] 작곡가 코모리타 미노루는 SMAP에게 처음으로 곡을 제공했으며, 이후 〈다이너마이트〉, 〈라이온 하트〉 등 여러 히트곡을 작곡했다.[1][2]
밝고 경쾌한 리듬과 중독성 있는 멜로디가 특징이다. 후렴구 전에 기무라 타쿠야의 솔로 파트가 존재한다. CHOKKAKU가 편곡을 담당하여 세련된 사운드를 완성했다. 가사에는 당시 유행하던 갸루어의 "초베리바·초베리그"에서 유래한[3] "초 베리 베리"가 사용되었다.
# '''SHAKE'''
3. 음악적 특징
4. 수록곡
#* 작사: 모리 히로미 / 작곡: 코모리타 미노루 / 편곡: CHOKKAKU
# '''가만히 날 따라와''' (黙って俺について来い|다맛테 오레니 쓰이테코이일본어)
#* 작사: 오구라 메구미 / 작곡: Jimmy Johnson / 편곡: 나가오카 세이고
# SHAKE (오리지널 가라오케)
# 가만히 날 따라와 (오리지널 가라오케)
4. 1. 싱글 수록곡
# '''SHAKE'''
#* 작사: 모리 히로미 / 작곡: 코모리타 미노루 / 편곡: CHOKKAKU
#* 후지 텔레비전 계열 『SMAP×SMAP』 테마송
#* 콘서트와 음악 프로그램 등에서 선보일 때, 거의 모든 공연에서 2절 후렴구 및 마지막 후렴구 앞 기무라의 솔로 파트를 기무라 본인이 직접 편곡하여 즉흥적으로 불렀다.
#* SMAP 출연 NTT 동일본 CM송
# '''가만히 날 따라와''' (黙って俺について来い|다맛테 오레니 쓰이테코이일본어)
#* 작사: 오구라 메구미 / 작곡: Jimmy Johnson / 편곡: 나가오카 세이고 / 코러스 어레인지: 마츠시타 마코토
# SHAKE (오리지널 가라오케)
# 가만히 날 따라와 (오리지널 가라오케)
4. 2. 앨범 수록
〈SHAKE〉는 1997년 3월 26일 발매된 앨범 《WOOL》, 2001년 3월 23일 발매된 베스트 앨범 《SMAP Vest》에 수록되었다. 2005년 7월 27일 발매된 앨범 《SAMPLE BANG!》에는 "SHAKE (BOOM BOOM SATELLITES REMIX)" 리믹스 버전이 수록되었다. 커플링 곡인 "가만히 날 따라와(黙って俺について来い일본어)"는 앨범에 수록되지 않았다.[1]
5. 차트 성적 및 기록
SHAKE일본어는 오리콘 주간 싱글 차트 1996년 12월 2일 자에서 첫 주 30.5만 장을 판매하며 1위를 차지했다.[5] 오리콘 조사 누적 판매량은 87.8만 장이다.[5] 2016년 9월 기준 싱글 누적 출하량은 105만 장으로, SMAP 싱글 역대 4위이다.[5]
6. 라이브 공연 및 방송 출연
〈SHAKE〉는 후지 TV 계열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인 《SMAP×SMAP》의 테마송으로 사용되었으며, 〈푸른 이나즈마〉에 이어 두 번째 테마송이다. 작사가 모리 히로미는 이 곡을 30분 만에 완성했다고 한다.
〈SHAKE〉는 오리지널 스마일, KANSHAして, 밤하늘의 저편과 함께 싱글 발매 이후 모든 콘서트에서 선보여졌다. 1996년 제47회 NHK 홍백가합전과 2014년 제65회 NHK 홍백가합전에서 불렀으며, 특히 FNS 가요제에서는 총 7회(톱 배턴 5회)로 SMAP 최다 출연 곡이다.
프로 야구 선수 이토이 요시오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서 오릭스 버팔로스로 이적한 2013년부터 등장곡으로 사용했으며,[1][2] 오릭스 홈 경기에서 이토이가 타석에 들어설 때마다 팬들이 "두 사람이라면 야레루야" 부분을 "'''이토이라면 야레루야'''"라고 개사해 부르는 것이 연례 행사였다. 이토이가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한 후에도 2022년 은퇴할 때까지 이러한 응원이 계속되었다. 고등학교 야구 응원가로도 사용되며, 주로 오사카 토인 고등학교 취주악부가 사용한다.
SMAP×SMAP, 뮤직 스테이션, 우타방 등 다수의 음악 방송에 출연했다. 기무라 타쿠야는 라이브나 방송에서 솔로 파트 가사를 즉흥적으로 바꿔 부르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때그때 상황에 맞는 메시지를 담았다.[3]
다음은 주요 방송 출연 목록이다.
방송일 | 방송사 | 프로그램 | |
---|---|---|---|
1996년 11월 4일 | 간사이 TV, 후지 TV | 『SMAP×SMAP』 | |
1996년 11월 8일 | TV 아사히 | 『뮤직 스테이션』 | |
1996년 11월 12일 | TBS | 『우타방』 | |
1996년 12월 10일 | 후지 TV | 『'96 FNS 가요제』 | |
1996년 12월 13일 | TV 아사히 | 『뮤직 스테이션』 | |
1996년 12월 21일 | 니혼 TV | 『산마&SMAP! 미녀와 야수의 크리스마스 스페셜 '96』 | |
1996년 12월 27일 | TV 아사히 | 『450회 기념 뮤직 스테이션 스페셜 슈퍼 라이브 96』 | |
1996년 12월 30일 | 간사이 TV, 후지 TV | 『SMAP×SMAP 96년 대 셰이크 스페셜 | 』 |
1996년 12월 31일 | NHK | 『제47회 NHK 홍백가합전』 | |
1997년 12월 11일 | 후지 TV | 『'97 FNS 가요제』 | |
2006년 10월 26일 | TBS | 『우타방』 | |
2009년 12월 13일 | 니혼 TV | 『산마&SMAP! 미녀와 야수의 크리스마스 스페셜 '09』 | |
2012년 12월 5일 | 후지 TV | 『2012 FNS 가요제』 | |
2012년 12월 23일 | 니혼 TV | 『산마&SMAP! 미녀와 야수의 크리스마스 스페셜 '12』 | |
2013년 7월 31일 | 후지 TV | 『2013 FNS 우타노 나츠마츠리』 | |
2013년 12월 4일 | 후지 TV | 『2013 FNS 가요제』 | |
2014년 7월 26일·7월 27일 | 후지 TV | 『무기는 TV. SMAP×FNS 27시간 TV』 | |
2014년 8월 13일 | 후지 TV | 『2014 FNS 우타노 나츠마츠리』 | |
2014년 12월 3일 | 후지 TV | 『2014 FNS 가요제』 | |
2014년 12월 31일 | NHK | 『제65회 NHK 홍백가합전』 | |
2015년 6월 27일 | TBS | 『음악의 날 2015』 | |
2015년 8월 30일 | NHK | 『NHK 노래자랑』 | |
2015년 12월 25일 | TV 아사히 | 『뮤직 스테이션 슈퍼 라이브 2015』 |
그 외 다수
6. 1. 컬래버레이션
SMAP×SMAP(간사이 TV · 후지 TV)에서 여러 아티스트와 컬래버레이션 무대를 선보였다. 2001년 9월 29일 "SMA2SH" 코너에서 마츠 타카코와,[1] 2006년 6월 5일 "S-Live" 코너에서 아무로 나미에와,[1] 2009년 4월 14일 우타다 히카루와 공연했다.[1]2010년 1월 4일 『SMAP×SMAP 사상 최대 4시간 반 생방송! 신춘 드림 스페셜』 그랜드 피날레에서 KAT-TUN과 합동 공연을 했다.[1] 2010년 11월 8일 『SMAP×SMAP』 "S-Live" 코너에서는 Perfume과 함께 무대에 올라 초콜릿 디스코 리믹스 버전을 선보였다.[1] 2011년 12월 19일 『SMAP×SMAP 크리스마스 SP!!』에서는 AKB48과 컬래버레이션했다.[1]
2012년 12월 25일 『화요곡! 성스러운 밤·통째로 생방송 4시간 Xmas 라이브』 "쟈니스 스페셜 메들리" 코너에서 Kis-My-Ft2와 함께 공연했다.[1]
7. 사회적 영향 및 평가
프로 야구 선수 이토이 요시오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서 오릭스 버팔로스로 이적한 2013년부터 등장곡으로 사용했다.[1][2] 오릭스가 홈 구장인 교세라 돔 오사카나 홋토못토 필드 고베에서 경기를 할 때, 이토이가 타석에 들어설 때마다 팬들이 "두 사람이라면 야레루야"라는 후렴구 부분을 "'''이토이라면 야레루야'''"라고 개사해 불렀다. 이러한 응원은 이토이가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한 후에도 2022년 은퇴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고등학교 야구 응원곡으로도 사용되며, 주로 오사카 토인 고등학교 취주악부가 사용한다.
세이코의 일부 알람 시계 내장 곡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8. 기타
SMAP 해산 후 2020년에 솔로 가수로 데뷔한 기무라 타쿠야는 같은 해 2월 8일에 열린 라이브 투어 「TAKUYA KIMURA Live Tour 2020 Go with the Flow」에서 〈밤하늘의 저편〉과 함께 이 곡을 불렀다.[4]
참조
[1]
뉴스
糸井SMAP存続に「ヨッピハッピシェイクやね」
http://www.nikkanspo[...]
[2]
뉴스
オリ・糸井、SMAP存続に超ゴキゲン!「ヨッピハッピシェイクやね」
https://www.sanspo.c[...]
[3]
웹사이트
1990年代を占領したコギャル
https://middle-edge.[...]
2020-01-01
[4]
뉴스
木村拓哉がソロライブでSMAP曲を熱唱も、『新しい地図』が歌わないのはナゼ?
https://www.msn.com/[...]
週刊女性PRIME
2020-02-18
[5]
뉴스
SMAPラストCD ファンが選ぶ50曲
데일리스포츠
2016-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